보도자료

[우리말과 한국문학] 우수한 콘텐츠 창작을 위한 전제_이승현

2022년 admin 22-11-24 189

세계적 영향력의 OTT서비스
넷플릭스 통해 흥행에 성공
한국 영상 콘텐츠만의 저력
자유로운 작품의 제작환경
우수 콘텐츠 창작 위한 기반 

2022101801000541600022131
이승현 경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필자는 지난 글에서 OTT 서비스와 한국의 영상 콘텐츠가 가지는 상관성에 관해 이야기한 바 있다. 결국 많은 OTT 서비스가 한국 콘텐츠를 제공하는 이유는 한국 콘텐츠의 저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런데 왜 세계적으로 OTT 서비스가 영향력을 갖춘 후에야 한국 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졌는가 하는 점은 의문스럽다. 물론 한국의 영상 콘텐츠 자체가 가진 저력이 있었기에, OTT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그 영향력을 더 발휘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분명 넷플릭스로 대표되는 OTT 서비스를 통해 한국의 영상 콘텐츠가 성공 신화를 쓰게 된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한국의 영상 콘텐츠가 OTT 서비스와 만날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살필 필요가 있다. 어떤 의미에서 이러한 상황에 대한 이해가 우수한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 꼭 필요한 전제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OTT 서비스 넷플릭스와 한국 영상 콘텐츠의 인연을 이어준 작품은 역시 봉준호 감독의 '옥자'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옥자'는 전통적인 방식의 극장 개봉이 아니라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영화를 개봉하면서, 프랑스극장협회나 국내 멀티플렉스로부터 따가운 시선을 받기도 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 왜 봉준호 감독이 극장 개봉에서 벗어나 과감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고민이 엿보이기도 한다. 봉준호는 '옥자' 제작에 필요한 560억원 전부를 넷플릭스로부터 지원받았다. 넷플릭스는 봉준호 감독에게 원하는 대로 영화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트리밍 서비스에 맞게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해달라는 한 가지 조건만 내걸었다고 한다.

넷플릭스를 통해 가장 성공한 한국 콘텐츠는 역시 '오징어 게임'이 아닐까 한다. '오징어 게임'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넷플릭스와 제작사 간의 수익 배분에 관한 문제가 불거지기도 했다. 이 문제는 정치권에서마저 쟁점이 되었는데, '오징어 게임'의 모든 지식재산권을 넷플릭스가 가지고 가면서 수익 배분이 공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장은 한편으로 정당한 문제 제기라고 할 수 있다. 넷플릭스 내부에서도 '오징어 게임'의 가치를 약 1조원으로 평가한다는 보도가 있었을 정도다. 그에 비해 '오징어 게임'의 제작을 맡은 국내 제작사는 20억~50억원 정도의 수익을 얻었을 뿐, 추가 수익 배분을 전혀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2008년부터 '오징어 게임'을 준비한 황동혁 감독의 입장은 수익 문제와는 다를 수도 있다. 오랜 시간 제작사를 찾지 못해 만들 수 없었던 작품을 넷플릭스의 투자를 받아 완성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위의 사례들을 보면, 넷플릭스의 투자는 장단점이 뚜렷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감독이나 제작사 입장에서 넷플릭스의 투자를 선호하는 이유는 국내 상황이 더 나쁘다는 방증일지 모른다. 산업적인 면에서 콘텐츠 제작은 위험 요소가 많기에, 투자는 위험 요소를 줄이는 데 집중한다. 그래서 많은 콘텐츠가 감독이나 연출자의 의도와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기 일쑤다. 만약 넷플릭스라는 OTT 서비스가 아니었다면, '옥자'나 '오징어 게임'이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세상에 나올 수 있었을까. 어쩌면 우수한 영상 콘텐츠를 계속 만들기 위한 답은 간단할지도 모른다. 창작자가 자유롭게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여건만 주어진다면, 한국의 영상 콘텐츠는 언제나 훌륭한 결과물을 내지 않을까 한다. 그래서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콘텐츠 투자의 실상이나 제작 환경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승현 경북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