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참여교수/ 남길임 외,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2022년 admin 22-12-27 252

남길임 외,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한글 83, 한글학회, 2022. 6. 


국문초록


이 연구는 단기통시적 관점에서 의미의 변화가 있다고 판단되는 형태를 ‘의미적 신어’로 지칭하고, 형태적 신어와 동일한 관점에서 의미적 신어의 출현과 정착 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분포적 가설을 따르는 기존의 접근법의 분석 원리와 의의, 한계를 살펴보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을 제안한다. 의미 변화의 양적 분석에서 주로 논의되어 온 ‘공기어 분석’과 ‘유사어 분석’은 새로운 의미와 관련된 공기어만을 고려하고 그 빈도가 일정 수준 이상으로 나타나야 한다는 전제에서 수행된다. 그러나 분포 범위 내 대부분의 공기어는 의미 변화와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점, 새로운 형태나 의미는 그 ‘새로움’ 때문에 본질적으로 저빈도로 나타난다는 특성으로 인해서 빈도에 기반한 공기어와 유사어의 자동 분석은 의미 변화의 양상을 충분히 살펴볼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고에서는 공기어 유형의 출현과 확산 추이를 연구자의 직관으로 분석함으로써,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과 정착을 식별하는 원리를 제안한다. ‘공기어 유형 추이 분석’은 연도별 공기어의 유형과 토큰 수의 분포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의미적 신어의 최초 출현, 확산, 정착 시기를 식별하고, 의미적 신어의 확산 원리를 살펴볼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


A Study on the Emergence and Spread of Korean Semantic Neologism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semantic changes and semantic neologisms from a short-term diachronic approach. This paper is written as follows. Section 2 introduces the distributional methodology, related research trends, and the time-sliced 1990–2018 online news article corpus analyzed in this study. Section 3 discusses how collocation and lexical similarity analyses were conducted to detect semantic neologisms.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have had a limited ability to detect semantic changes because frequency-based analysis is too sensitive to corpus size to be reliable. Accordingly, Section 4 suggests that type frequency-based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token frequency method. Collocation type trend analysis should be to detect semantic changes.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