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참여교수/ 김진웅, 「사회적 변인에 따른 요청 화행 공손 전략 분석 -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2021년 admin 23-01-20 182

김진웅, 「사회적 변인에 따른 요청 화행 공손 전략 분석 -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6, 2021.1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요청 화행에서사용하는 공손 전략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각 50명을 대상으로 담화 완성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우리는 연구 분석을 통해 다음 세 가지를 확인했다. 첫째, 전체적으로 보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인 모어 화자에 비해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한국인 모어 화자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에 비해 소극적 공손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요청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한국인 모어화자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보다 더 높은 공손성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한국인 모어 화자는 심리적 거리에 따른 요청 화행의 공손 전략 사용에 있어 경향성을 뚜렷하게 드러냈지만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는 심리적 거리에 따른 경향성을 드러내지 않았다. 한편,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모두 사회적 지위에 따른 요청화행의 공손 전략 사용은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다. 셋째, 공손 전략 표현 사용에서 한국인 모어 화자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보다 더 다양한 표현을 사용하였다. 특히 ‘약화된 수행 동사 사용하기’, ‘소망 언급하기’, ‘청자 수행 가능성 묻기’에서 두 집단의 격차가눈에 띄게 나타난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인 모어 화자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에서 공손 전략 실현 양상과 표현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변인에 따라 두 집단이 사용한 공손 전략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차이로부터 두 집단의 공손성에 대한인식에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politeness strategies used in the Requests, produced by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r this purpose, a discourse completion task was conducted on 50 Korean Native Speakers and 50 Chinese Learners of Korean. The following three things were confirmed through the research analysis. First, Chinese Learners of Korean used more direct explicit strategie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and Korean Native Speakers used more passive politeness strategy than Chinese Learners of Korean. In other words, when Requested, Korean Native Speakers show higher politeness than Chinese Korean Learners. In the situation where the Request is made, it can be seen that Korean Native Speakers show higher politeness than Chinese Learners of Korean. Second, Korean Native Speakers clearly showed the tendency in terms of Distance, but Chinese Korean learners have no tendency. Depending on Power, the use of politeness strategy request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both tended to be similar trends. Third, in the use of politeness strategy expressions, Korean Native Speakers used a variety of expressions. In particular,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iceable in ‘using weakened performance verbs’, ‘mentioning wishes’, and ‘questioning the possibility of listener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showed the patterns and expressions of politeness strategies in the Requests.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the politeness strategies used by the two groups could be confirmed according to social factors, and these differences reflect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oliteness between the two groups.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