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참여교수/ 최은숙, 「옥소 권섭의 「遊行錄」에 나타난 대상체험의 양상과 유람의 의미」

2021년 admin 23-01-20 180

최은숙, 「옥소 권섭의 「遊行錄」에 나타난 대상체험의 양상과 유람의 의미」, 영남학 79, 2021.12.



초록


본고는 옥소 권섭의 「유행록」에 나타난 대상체험의 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옥소의 유람이 지닌 의미를 정리한 글이다. 그동안의 연구가 옥소의 산수유람을 현실과 분리된 공간으로의 도피 혹은 일탈의 과정으로, 정신적 자유의 획득이라는 차원에서 주로 이해했다면, 본고는 대상체험의 양상을 미적 체험과 연결하여 이해함으로써 유람의 동기와 의미를 차별적으로 해석하였다. 산수유람의 과정에서 옥소가 체험한 대상은 자연, 인간, 문화의 층위로 구분할 수 있는데, 대상체험의 양상은 각각 기승(奇勝)을 통한 낯설음의 체험과 숭고, 친근한 만남을 통한 유대감 공유와 해학, 고정관념의 탈피와 이(異)문화에 대한 공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대상체험의 양상은 옥소가 체험한 산수 유람이 현실과 동떨어진 일탈 혹은 도피의 과정이었다기보다는 자신의 존재를 세계로 확장하고 연결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더욱 풍요롭게 만드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옥소의 산수유람은 자신의 삶을 스스로 조형하는 과정이었으며, 산수유기인 「유행록」은 세상과의 연결을 도모하는 적극적 글쓰기라는 의미를 지닐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and different aspects of object experience in Kwon Seob’s Yuhaengrok (遊行錄). While previous studies have described Okso’s landscape sightseeing excursions as a process of escaping or deviating from reality, only for the purpose of psychological liberation, the current study takes a different approach to the meaning of Yuhaengrok to understand object experience as connected to aesthetic experience. The objects experienced by Okso as he engaged in these excursions can be divided into the layers of nature, people, and culture, in which the objects experienced through unfamiliarity still allow him to share in the bonds of closeness, friendship, and humor. Breaking free from stereotypes, he would find empathy for a different culture. Through this understanding of object experiences, one can see that Okso’s travels were a process of expanding the mind and connecting his existence to the world, rather than a way to turn away or escape from reality. This demonstrates how his excursions were an active way to enrich his experience, and that Yuhaengrok promotes actively connecting oneself with the world.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