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참여교수/ 안미애,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2021년 admin 23-01-20 175

안미애, 「대학생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연구-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인지와 미디어 활용 양상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3, 2021.11.



초록


이 연구는 대학 교양 교육의 영역에서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의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교수요목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대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과 능력의필요성에 대한 인식 정도와 함께,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태도와 행동 양상을 진단 역량평가 도구를 통해 분석했다. 그 결과, 대학생의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은 낮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지식의 정도도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인식과 행동으로나눠볼 때,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개념 이해와 무관하게, 대학생들은 인터넷에 대한 가치 인식과 자기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미디어에서는 자신을 표현하는 것보다 표현된 것을 이해하는 행동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의 디지털 기반 미디어리터러시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대학 교양 교육의 차원에서 먼저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높이고, 디지털 기반 미디어에 서 긍정적인 자기 표현의 경험을 하도록 하여, 균형 있는 디지털 기반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In this stud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of media literacy were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have a low need for awarenessand ability of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There is also a lack of knowledge about media literacy. Second,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 are generally positive. Third,regardless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media literacy, university students were found to havehigh valu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n the Internet. In addition, Internet media evaluated thebehavior of understanding what was expressed more positively than expressing oneself. From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university students’ digital-based media literacy capabilities,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ositive perceptions of media literacy in terms of university liberal artseducation.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balanced digital-based literacycapabilities through positive expression experiences for Internet media.

QUICK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