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참여교수/ 남길임,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2년 admin 23-01-20 180

남길임, 「口述性과 文字性의 사이, 메신저 대화의 談話와 文法 –메신저 대화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의 비교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50-4, 2022.12.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말뭉치언어학적 관점에서 메신저 대화의 談話·文法的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메신저 말뭉치에 나타난 말차례 단위와 문장 단위를 분석하고, 이를 구어 전사 말뭉치와 비교함으로써, 談話와 文法 차원에서 메신저 대화의 특수성을 살펴본다. 매체의 변화가 의사소통의 변화를 가져온다는 Ong(1982)의 주장은 구어에서 문어로의 변화뿐만 아니라 제3의 매체인 메신저에도 적용되는바, 메신저 언어의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신저 대화의 단위 시간당 텍스트량은 구어의 1/3 수준이며, 단위 어절 대비 말차례 교체의 빈도는 구어에 비해 다소 적은 수준이다. 둘째, 구어에 비해 조정 단위의 비중은 적지만, 대신 메신저에서 화자는 태도를 나타내는 표지를 적극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참여자 간의 상호 협력을 추구한다. 셋째, 문장 단위의 복잡성 분석에서, 메신저 대화는 구어에 비해 짧은 단문, 조각문 위주의 사용을 선호한다. 이 연구는 현대 한국인의 일상 담화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메신저 대화의 談話 文法的 특성을 말뭉치의 계량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iscourse and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instant messages (IMs) from the corpus linguistics perspective. In particular, we examined IMs by analyzing the turn-taking units and sentence units in an IM corpus and comparing them with a spoken corpus. The principle that “media changes bring about communication changes” applies not only to changes from spoken to written language but also to IMs, a third medium. This study examined this change in terms of discourse and gramma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mount of text per unit time of IM speech was 1/3 that of the spoken language, and the turn-taking frequency per 10,000 ecels (word space units) was less frequent than in spoken language. In addition, while the proportion of regulatory units was less than in the spoken language, the participants pursued cooperation in IM speech by actively expressing their attitudes. Conversely, the analysis of sentence unit complexity indicated that the use of short and fragmented sentences is preferred in IM speech compared to spoken language. 

QUICK MENU